[논평] 지역성과 지역방송 발전을 위한 방송법 개정의 의의
- 신경민 의원의 방송법 개정안 발의를 환영한다
지상파방송 3사는 덩치는 점점 비대해지는데 계층과 지역 다양성 보다는 중앙(서울)의 획일화된 메시지를 전달한다. 조중동은 신문에 방송을 겸하며 여론 왜곡을 확대한다. 유료방송은 제각기 도입 취지에서 벗어나 규제당국의 독과점 정책을 부추기는 가운데 오로지 상업성만 추구하고 있다. 여기다가 통신사업자들이 우격다짐으로 도입한 IPTV에 직사채널까지 요구하고 나서는 판이다. 시민이 시민 미디어 주권을, 지역 주민이 지역 미디어 주권을 이야기하기에 미디어 생태계 현실은 딴 세상 일이 되었다. 지역지상파방송이 공공성과 공익성을 바탕으로 한 지역 무료 로컬미디어로, 지역미디어센터가 지역 주민 공동체와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교통지로, 공동체라디오방송이 지역의 방송 소외계층의 방송 참여를 확대하는 거점으로 자리잡고, 크고작은 마을미디어와 현장미디어가 활성화 될 때 비로소 여론의 다양성, 미디어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거론할 수 있을 것이다.
미디어 법과 제도에 있어 독립성, 공공성, 지역성, 미디어주권은 국가적으로 사회적으로 지켜야 할 뿐만 아니라 확대 강화해야 할 보편적 가치와 규범이다. 통합방송법은 이 가치체계과 규범에 관한 아주 최소한의 원칙 정도만 반영되어 있다. 이 가운데서도 지역성은 가장 홀대받아왔다. 지역 지상파방송의 정의의 경우 시행령에서나 다뤄지고 있는 데다 지역의 개념도 지역 주민의 생활 단위가 아니라 서울에 반대하는 변방 즉 지방 차원으로 간주되고 있다.
신경민 민주통합당 의원이 발의한 방송법 개정안은 보편성으로서의 지역성에 관한 최소한의 제자리 찾기에 나섰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우선 제1조(목적)에 ‘지역사회의 균형발전'을 명시함으로써 방송의 목적에 지역성 구현이 보편적인 것임을 확인했다. 제2조(용어의 정리)에서 시행령에 있던 지역방송의 정의를 모법으로 옮기고, 제5조(방송의 공적 책임)에 지역사회 공동체를 건전하게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해야 함을 명시했다. 이로부터 허가.승인시 심사기준, 지역방송발전위원회의 구성과 직무, 제작과 편성 등 지역방송에 관한 최소한의 보완 조치를 반영했다.
미디어 생태계의 민주화를 말할 때, 보통은 미디어가 시민 개개인, 공동체,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다룬다. 나아가 그 역에 대해서도 다투어야 한다. 지금처럼 국가의 미디어 정책은 권력종속적이고 상업적인 것 일률적으로 작용하고, 미디어 생태계가 권력과 자본 간의 이익 다툼의 전장터가 된 상황에서, 시민은 여론획일화의 피동의 위치로 내몰리고, 공동체는 권력과 자본의 이익 논리에 의해 붕괴 위기에 직면하였다. 미디어 생태계 민주화는 시민 개개인과 공동체, 사회가 미디어를 규정하는 다양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권리 실천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때 국가는 법제도의 개선을 통해 이를 보장해야 하고, 방송법을 위시로 한 미디어 관련법에 있어 기본 가치인 독립성, 공공성, 지역성, 미디어주권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신경민 의원이 발의한 방송법 개정안은 이처럼 방송법 체계의 큰 축을 보완하는 시급하고 중차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미디어 사업자와 시민사회 모두의 환영과 박수를 받을 일이다.
2012년 8월 29일
- 신경민 의원의 방송법 개정안 발의를 환영한다
지상파방송 3사는 덩치는 점점 비대해지는데 계층과 지역 다양성 보다는 중앙(서울)의 획일화된 메시지를 전달한다. 조중동은 신문에 방송을 겸하며 여론 왜곡을 확대한다. 유료방송은 제각기 도입 취지에서 벗어나 규제당국의 독과점 정책을 부추기는 가운데 오로지 상업성만 추구하고 있다. 여기다가 통신사업자들이 우격다짐으로 도입한 IPTV에 직사채널까지 요구하고 나서는 판이다. 시민이 시민 미디어 주권을, 지역 주민이 지역 미디어 주권을 이야기하기에 미디어 생태계 현실은 딴 세상 일이 되었다. 지역지상파방송이 공공성과 공익성을 바탕으로 한 지역 무료 로컬미디어로, 지역미디어센터가 지역 주민 공동체와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교통지로, 공동체라디오방송이 지역의 방송 소외계층의 방송 참여를 확대하는 거점으로 자리잡고, 크고작은 마을미디어와 현장미디어가 활성화 될 때 비로소 여론의 다양성, 미디어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거론할 수 있을 것이다.
미디어 법과 제도에 있어 독립성, 공공성, 지역성, 미디어주권은 국가적으로 사회적으로 지켜야 할 뿐만 아니라 확대 강화해야 할 보편적 가치와 규범이다. 통합방송법은 이 가치체계과 규범에 관한 아주 최소한의 원칙 정도만 반영되어 있다. 이 가운데서도 지역성은 가장 홀대받아왔다. 지역 지상파방송의 정의의 경우 시행령에서나 다뤄지고 있는 데다 지역의 개념도 지역 주민의 생활 단위가 아니라 서울에 반대하는 변방 즉 지방 차원으로 간주되고 있다.
신경민 민주통합당 의원이 발의한 방송법 개정안은 보편성으로서의 지역성에 관한 최소한의 제자리 찾기에 나섰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우선 제1조(목적)에 ‘지역사회의 균형발전'을 명시함으로써 방송의 목적에 지역성 구현이 보편적인 것임을 확인했다. 제2조(용어의 정리)에서 시행령에 있던 지역방송의 정의를 모법으로 옮기고, 제5조(방송의 공적 책임)에 지역사회 공동체를 건전하게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해야 함을 명시했다. 이로부터 허가.승인시 심사기준, 지역방송발전위원회의 구성과 직무, 제작과 편성 등 지역방송에 관한 최소한의 보완 조치를 반영했다.
미디어 생태계의 민주화를 말할 때, 보통은 미디어가 시민 개개인, 공동체,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다룬다. 나아가 그 역에 대해서도 다투어야 한다. 지금처럼 국가의 미디어 정책은 권력종속적이고 상업적인 것 일률적으로 작용하고, 미디어 생태계가 권력과 자본 간의 이익 다툼의 전장터가 된 상황에서, 시민은 여론획일화의 피동의 위치로 내몰리고, 공동체는 권력과 자본의 이익 논리에 의해 붕괴 위기에 직면하였다. 미디어 생태계 민주화는 시민 개개인과 공동체, 사회가 미디어를 규정하는 다양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권리 실천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때 국가는 법제도의 개선을 통해 이를 보장해야 하고, 방송법을 위시로 한 미디어 관련법에 있어 기본 가치인 독립성, 공공성, 지역성, 미디어주권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신경민 의원이 발의한 방송법 개정안은 이처럼 방송법 체계의 큰 축을 보완하는 시급하고 중차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미디어 사업자와 시민사회 모두의 환영과 박수를 받을 일이다.
2012년 8월 29일
미디어커뮤니케이션네트워크
언론개혁시민연대
언론개혁시민연대
'논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평] 이길영 KBS 이사장 선임은 ‘땡박뉴스’ 신호탄이다. (0) | 2013.09.10 |
---|---|
[논평] 노웅래 의원의 공동체라디오방송법 발의를 환영한다 (0) | 2013.09.10 |
[논평] 김재우씨는 방문진 이사장 자격 없다 (0) | 2013.09.10 |
[논평] SBS미디어크리에이트 허가 승인 유감이다 (0) | 2013.09.10 |
[논평] 이길영은 떠나야 하고, 김현석은 돌아와야 한다 (0) | 2013.09.10 |
댓글